유아교육동향세미나
현대 유아교육의 동향과 사조, 현대유아교육에 미치는 문화의 사회적 영향 등 21세기를 향한 미래 유아교육동향에 대해 살핀다.
현장사례및연구
영유아의 발달적 특성과 요구에 적합한 놀이중심의 활동을 수립하고, 유아교육기관 현장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실천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교육과정 운영능력과 전문성을 개발한다.
부모상담워크샵
부모정체성 확립과 올바른 양육관 형성을 지원하고, 부모와 함께 연계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육적 효과성을 증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유아디지털놀이워크샵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디지털 활용 교육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디지털 놀이 사례를 토대로 바람직한 교육 적용 방안을 탐색한다.
채플(II)
다양한 형식의 특강을 통해 인생의 참된 가치와 삶의 지혜를 발견하고 생명 존중의 삶과 공동체의 행복을 위해 실천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깨달을 수 있도록 돕는다.
교육방법및교육공학
교육기자재의 활용방법과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활용 내용을 익힌다. 특히 컴퓨터를 활용한 교재교구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교수매체를 제작하고, 활용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유아교육과정
사회적, 심리적, 철학적 이론에 근거한 유아교육프로그램의 구성원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다양한 현대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파악하고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기초를 익힌다. 누리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교육과정을 계획, 실행, 평가와 환류의 과정을 익힌다. 교수방법이 유아의 흥미와 활동특성에 적합한지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익힌다.
특수교육학개론
‘특수교육학개론’과 ‘영재교육’관련 영역을 포함하며 장애 유아들의 특별한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장애아동의 교육에 대한 이해와 기초를 마련한다. 유아의 사례별로 발달지원계획을 수립하며, 유아 관찰일지, 활동결과물, 부모면담, 발달검사 등의 자료를 토대로 발달지원 대상을 선별하는 방법을 안다. 특수영유아 담당 특수교사와 역할을 분담하여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아동권리와 복지
아동복지의 역사와 실천방법, 시설들을 살펴봄으로써 현대사회의 특성을 근거로 한 유아교육기관의 복지적 역할을 익히고 실천방법을 계획 운영하는 능력을 익히며, 지역사회와의 협력하기를 위한 방법을 안다.
영유아사회정서지도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이해하여 또래와의 관계 및 지역사회, 사회와 긍정적인 방식으로 관계 맺을 수 있도록 교육환경과 내용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관이 속한 지역사회를 비롯하여 사회의 이슈가 되는 여러 문제들을 교실로 가져와 유아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활동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익힌다.